구영배 대표가 이끄는 회사는 지마켓 창립 후 나스닥에 상장되어 성공하고, 이베이에 팖
이베이와 함께 큐텐이 설립됨
이베이에서 구영배 대표한테 일정기간 경쟁 금지 조항을 걸어서 구대표는 싱가폴에가서 이베이 + 사모펀드와 손잡고 규텐이라는 이커머스 만듦
큐텐 지분구조는 구영배 53% , 나머지는 사모펀드들임
큐텐은 주로 중국 판매자, 약간의 한국 판매자들의 물건을 -> 동남아 소비자에게 연결해주는 이커머스였음
겸업금지 기간 풀리자마자 한국 시장에 재진출함.
직구시장에서는 큐텐이 꽤 유명했으나 비상장 기업이라서 재무상태는 아무도 몰랐던 상황
큐텐은 ‘이베이 코리아’ 를 인수하려했지만 ‘신세계’ 가 인수하는 바람에 인수에 실패함
따라서 이때부터 자기자본 잠식에 들어간 적자 기업만 잔뜩 사들이는 전략을 취함
- 적자 기업 사들이는 이유는? 돈이 안듦
- 적자기업들은 큐텐 지본 줄테니 팔라고 하면 바로 팔아버림
- 적자회사 , 위메프 , 티몬, 인터파크 주식 <—> 큐텐 주식 서로 교환 후 큐텐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방법으로 인수
-> 돈 한푼 안들이고 몸집 불리기 성공
-> 큐텐의 목표는 몸집을 불려서 큐 익스프레스 택배 물량 늘려서 실적올린 후 큐텐 자회사였던 큐익스프레스를 나스닥 상장 시키려고 함
구영모 회장은 지마켓 나스닥 상장으로 대박을 터트린 경험이 있어서 나스닥 상장에 집착함
한국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큐텐은 적자 기업인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쇼핑을 인수했으나, 이로 인해 재정 부담이 커지고 경영에 어려움을 겪음. 인수시 , 큐텐 주식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인수했기에 직접적인 현금투자는 하지 않았지만 경영 악화로 인해 인수한 기업들의 적자폭이 커짐
위메프는 큐텐 인수 전에는 적자를 줄여나가고 있었으나, 인수 후 적자 폭이 커지고 매출이 급감함.


티몬도 비슷한 상황으로, 미지급 사태로 재정 상태가 악화됨. 큐텐이 미국 이커머스 회사인 위시를 인수했지만, 태국 직구 규제로 실패하여 큰 타격을 입고 부도에 가까운 상태에 이름.
원인? 무리한 확장 전략, 불투명한 재무 관리, 상장 실패와 자본 부족 등에 인한 요인
원인은 무리한 확장 전략, 불투명한 재무 관리, 상장 실패와 자본 부족 등이 있음. 무리한 M&A로 인해 재정이 악화되었고, 큐텐 사장이 큐텐만 운영했으면 큰 문제가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음.
물류창고와 운송 인프라를 확대하고 인기 품목을 유통했다면 쿠팡과 경쟁할 수 있었을 것임.
물류창고와 운송 인프라를 점차적으로 확대하고 재구매율 + 인기품목 + 직구제품을 한국에서 유통했으면 나았을듯
그러나 적자 보고 있는 기업들을 티몬, 위메프, ak몰, 미국 위시를 매입하면서 영업이익으로 적자 커버가 불가능해짐. 큐텐 그룹사들의 신뢰가 깨져 미수금 납부가 어려운 상황임.